건곤감리의 뜻
건곤감리(乾坤坎離): 태극기의 네 가지 괘, 우주의 원리를 담다
건곤감리(乾坤坎離)는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의 네 모서리에 있는 네 개의 괘를 일컫는 말입니다. 각각의 괘는 단순히 직선의 조합이 아니라, 우주와 자연의 근본적인 원리를 상징하고 있습니다. 건곤감리는 주역(周易)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음과 양의 조화와 변화를 통해 세상 만물의 생성과 소멸을 설명합니다. 태극기의 중앙에 있는 태극 문양과 더불어, 건곤감리는 대한민국이 지향하는 조화와 균형의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건곤감리 각각의 뜻을 상세히 알아보고, 태극기 전체가 담고 있는 의미를 심도 있게 해석해 보겠습니다.
건(乾) - 하늘의 상징
건(乾)은 태극기의 왼쪽 윗부분에 위치하며, 세 개의 이어진 막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막대는 '양(陽)'을 상징합니다.
- 의미: 건은 하늘, 아버지, 남성, 봄, 동쪽 등을 상징합니다. 모든 만물의 시작이자 근원이 되는 강력하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 특징: 하늘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건이 지닌 역동적이고 무한한 힘을 나타냅니다. 태극기에서 건괘는 하늘의 숭고함과 양의 기운을 대표합니다.
건괘는 하늘이 만물을 주관하듯, 모든 것의 시작이자 근본이 되는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곤(坤) - 땅의 상징
곤(坤)은 태극기의 오른쪽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세 개의 끊어진 막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막대는 '음(陰)'을 상징합니다.
- 의미: 곤은 땅, 어머니, 여성, 여름, 서쪽 등을 상징합니다. 모든 만물을 길러내고 포용하는 부드럽고 수용적인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 특징: 땅은 하늘의 기운을 받아 만물을 자라게 합니다. 곤괘는 하늘의 양에 대비되는 음의 성질로, 안정성과 포용력을 나타냅니다. 태극기에서 곤괘는 땅의 겸손함과 풍요로움을 대표합니다.






곤괘는 하늘의 양기와 조화를 이루어 만물이 번성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땅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감(坎) - 물의 상징
감(坎)은 태극기의 오른쪽 윗부분에 위치하며, 끊어진 막대 사이에 이어진 막대(–– ― ––)가 있는 형태입니다.
- 의미: 감은 물, 아들, 달, 겨울, 북쪽 등을 상징합니다. 물의 흐름처럼 유연하고 지혜로운 성질을 의미합니다.
- 특징: 감괘는 겉은 음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속은 양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이는 물이 겉으로는 부드럽게 보이지만 내면에는 강인한 힘을 숨기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태극기에서 감괘는 지혜와 용기를 대표합니다.
감괘는 모든 것을 포용하고 흐르는 물의 특성처럼 지혜와 유연성을 나타냅니다.
리(離) - 불의 상징
리(離)는 태극기의 왼쪽 아랫부분에 위치하며, 이어진 막대 사이에 끊어진 막대(― –– ―)가 있는 형태입니다.
- 의미: 리는 불, 딸, 해, 가을, 남쪽 등을 상징합니다. 빛을 발하여 만물을 밝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 특징: 리괘는 겉은 양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속은 음으로 비어 있습니다. 이는 불이 겉으로 화려하게 타오르지만, 그 내부는 비어 있는 성질을 나타냅니다. 태극기에서 리괘는 빛과 밝음, 그리고 지혜를 대표합니다.
리괘는 만물을 밝히는 불의 특성처럼 밝음과 지혜를 나타냅니다.
태극기 속 건곤감리의 의미
건곤감리 네 개의 괘는 단순히 자연을 상징하는 것을 넘어, 태극 문양과 함께 다음과 같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조화와 균형: 하늘(건)과 땅(곤)이 서로 마주보고, 물(감)과 불(리)이 서로 마주보며 균형을 이루는 모습은 우주의 조화로운 질서를 상징합니다.
- 상호 보완: 건과 곤은 음양의 근본을, 감과 리는 음양의 변화를 보여줍니다. 이 네 개의 괘는 서로 상호 보완하며 우주 만물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 국가의 이상: 태극기는 이러한 우주의 원리처럼, 민족이 화합하고 조화를 이루며 번영하기를 바라는 대한민국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건곤감리는 단순히 태극기의 일부를 넘어, 우리 민족의 깊은 철학과 염원을 상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